데이터와 학습/Statistics
-
비표준화 회귀계수와 F-통계량데이터와 학습/Statistics 2025. 5. 8. 21:56
비표준화 회귀계수(unstandardized coefficients)인 B는 원 데이터를 통해, 표준화 회귀계수(standardized coefficients)인 β('베타'라고 읽는다)는 원 데이터를 표준화 점수로 치환한 후 도출한 회귀계수다. 결과변인을 추정하는 각 예측변인들의 상대적 크기를 비교하고자 할 경우, 만일 예측변인들이 상이한 척도를 사용했다면, 표준화계수가 좀 더 적절할 수 있을 것이다. 단순 회귀분석은 단 하나의 예측변인만을 갖고 있으므로, 비표준화 계수를 사용하면 된다.F-통계량 도출공식에서도 알 수 있듯이, F-통계량은 집단 간 변화량과 집단 내 변화량의 비율이다. 따라서 집단 간 변화량 차이가 크고, 집단 내 변화량 즉 소음이 적을수록 F-통계량이 커지는 반면에, 그 반대의 경우 ..
-
1. Two-way ANOVA 2. ANCOVA데이터와 학습/Statistics 2024. 1. 14. 05:28
1. Two-way ANOVA 1. 연구목적 및 개괄적 설명 본 연구는 한국 사회과학 연구와 관련 기초 통계 원자료의 생산과 확산의 일환으로 2014년 6월 23일부터 8월 31일까지 김상욱, 이명진, 신승배 교수가 참여, 전국 25개 대학의 현지 조사팀이 실시한 ‘2014 한국종합사회조사 KGSS’의 설문조사(n=2500) 결과를 바탕으로 시행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남/녀)과 학력(고학력/저학력)에 따라 정치 관심도에 대한 상호작용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500명의 참여자 중 유효하게 응답한 1370명 자료를 대상으로 Two-way ANOVA를 실시했다. 독립변인 중 학력은 기존 8개 최종 학력별(무학,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문대학-2/..
-
Independent t-test (one-tailed) Ⅰ, Ⅱ데이터와 학습/Statistics 2024. 1. 14. 05:18
1. 연구목적 및 개괄적 설명 본 연구는 한국 사회과학 연구와 관련 기초 통계 원자료의 생산과 확산의 일환으로 2014년 6월 23일부터 8월 31일까지 김상욱, 이명진, 신승배 교수가 참여, 전국 25개 대학의 현지 조사팀이 실시한 ‘2014 한국종합사회조사 KGSS’의 설문조사(n=2500) 결과를 바탕으로 시행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학력 집단과 저학력 집단 간 정치적 성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려 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에서는 2500명의 참여자 중 유효하게 응답한 1370명 자료를 대상으로 Independent t-test(one-tailed test)를 실시했다. 독립변인은 기존 8개 최종 학력별(무학,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문대학-2/3년제, 대..
-
One-way ANOVA (독립변인 3집단)데이터와 학습/Statistics 2024. 1. 14. 05:16
1. 연구목적 및 개괄적 설명 본 연구는 한국 사회과학 연구와 관련 기초 통계 원자료의 생산과 확산의 일환으로 2014년 6월 23일부터 8월 31일까지 김상욱, 이명진, 신승배 교수가 참여, 전국 25개 대학의 현지 조사팀이 실시한 ‘2014 한국종합사회조사 KGSS’의 설문조사(n=2500) 결과를 바탕으로 시행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력에 따라 공정성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려 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에서는 2500명의 참여자 중 유효하게 응답한 1370명 자료를 대상으로 One-way ANOVA를 실시했다. 독립변인은 기존 8개 최종 학력별(무학,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문대학-2/3년제, 대학교-4년제, 대학원-석사 과정, 대학원-박사 과정)로 나뉜 값을 ‘..
-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다중회귀분석)데이터와 학습/Statistics 2024. 1. 13. 04:49
1. 연구목적 및 개괄적 설명 본 연구는 한국 사회과학 연구와 관련 기초 통계 원자료의 생산과 확산의 일환으로 2014년 6월 23일부터 8월 31일까지 김상욱, 이명진, 신승배 교수가 참여, 전국 25개 대학의 현지 조사팀이 실시한 ‘2014 한국종합사회조사 KGSS’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하였으며 2500명의 참여자 중 1359명이 최종적으로 유효하게 응답했다. 본 연구는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치적 성향에 대해 ①한국 정치 상황에 대한 만족도, ②한국 정치의 향후 전망, ③한국 경제 변화 예상, ④한국의 사회복지지출 증감 선호도가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각 독립변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