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Independent t-test (one-tailed) Ⅰ, Ⅱ
    경영학/통계 2024. 1. 14. 05:18

    1. 연구목적 및 개괄적 설명

    본 연구는 한국 사회과학 연구와 관련 기초 통계 원자료의 생산과 확산의 일환으로 2014623일부터 831일까지 김상욱, 이명진, 신승배 교수가 참여, 전국 25개 대학의 현지 조사팀이 실시한 ‘2014 한국종합사회조사 KGSS’의 설문조사(n=2500) 결과를 바탕으로 시행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학력 집단과 저학력 집단 간 정치적 성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려 하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에서는 2500명의 참여자 중 유효하게 응답한 1370명 자료를 대상으로 Independent t-test(one-tailed test)를 실시했다.

    독립변인은 기존 8개 최종 학력별(무학,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전문대학-2/3년제, 대학교-4년제, 대학원-석사 과정, 대학원-박사 과정)로 나뉜 값을 대학교-4년제이상은 고학력 집단, ‘전문대학-2/3년제이하는 저학력 집단으로 리코딩하였다. 종속변인은 정치적 성향으로 1(매우 진보적)~5(매우 보수적)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 낮은 수치일수록 진보적인 입장을 나타낸다.

     

    2. 가설

    가설: 고학력 집단이 저학력 집단에 비해 진보적일 것이다.

     

    3. 분석표

    <1> 학력별 정치적 성향 independent t-test (n=1370)

    종속변인 독립변인 사례수(n) 평균 s.d. t-value
    정치적 성향 고학력 집단 595 2.9 1.0 t-value
    =3.69*
    저학력 집단 775 3.1 1.1

    Note: d.f.=1368, p<.05*

     

    4. 통계적 해석

    <1>은 학력 수준에 따른 정치적 성향의 차이를 independent t-test(one-tailed test)를 통해 분석한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정치적 성향에서 고학력 집단의 평균은 2.9(s.d.=1.0, n=595), 저학력 집단의 평균은 3.1(s.d.=1.1, n=775)로 나타났다. SPSS 19.0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 Levene의 등분산 검정에서 유의확률이 0.404으로 나와 등분산이 가정됐으며 이에 따라 t-value3.69로 나타났다. 여기서 프로그램을 통해 나오는 결과 값은 two-tailed test 값이므로 one-tailed testt분포도로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른 검증 결과 유의확률 값은 0.000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independent t-test결과 95% 신뢰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3.69, d.f=1368, p<.05)

    이에 따라 고학력 집단이 저학력 집단에 비해 진보적일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5. 결과 의미 해석

    본 연구는 고학력 집단과 저학력 집단 간 정치적 성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려 했다. 이에 independent t-test(one-tailed test)를 실시한 결과 고학력 집단의 성향 평균이 더 낮게 나타나 고학력 집단이 저학력 집단에 비해 진보적일 것이란 본 연구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구체적으로, 고학력 집단의 평균은 2.9(s.d.=1.0, n=595), 저학력 집단의 평균은 3.1(s.d.=1.1, n=775)로 나타나 학력별 정치적 성향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이런 결과는 학력이 높을수록 소득 재분배 등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도 인식이 높아지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선행연구에서도 고학력일수록 상대적으로 진보적이라는 결과들이 있다(송근원, 2003).

    하지만 본 연구 결과는 ‘2014 한국종합사회조사 KGSS’라는 단일 조사의 응답 자료를 분석한 것으로 이를 통해서만 집단의 성향을 단정 짓는 것은 무리가 있다. 또 본 연구는 두 변인 간에 관계를 규명한 것으로 더 다양한 의미를 해석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보완을 한다면 의미 있는 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6. 참고문헌

    송근원(2003). 16대 대선에서 나타난 유권자들의 정책 성향 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2003학년도 국제학술대회 논문

    '경영학 >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Two-way ANOVA 2. ANCOVA  (1) 2024.01.14
    One-way ANOVA (독립변인 3집단)  (1) 2024.01.1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다중회귀분석)  (3) 2024.01.13
    상호작용효과, SPSS, 기타  (0) 2024.01.13
    구조방정식, 가설 예시  (0) 2022.12.11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