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 하나하나에... 군대 악습, 멀리 있는 게 아니다쓴 기사/기고 2017. 11. 1. 17:14
[24개월 병영 기록 ⑩] 여전히 반복되고 있는 '언어' 악습들
[이전 기사: 자대 배치, 사격에서 희비 엇갈려]
진주에서 서산으로 가는 여정, 설렘 반, 두려움 반이었다. 2개월여 훈련과 교육을 마치고 군 생활의 본격적인 첫걸음을 뗀 셈이었다. 그 걸음은 가볍지도, 무겁지도 않아야 했다. 주위를 두루 살피면서 건너야 할 텐데, 가볍게 내달려서도 안 됐고, 빠른 적응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 무겁게 걸음을 옮기는 것도 안 될 일이었다. 뭐든 눈치를 봐야 했다.▲ 경례는 군인으로서 기본예절로 통했다. 신병이라 간부는 물론이고, 일병, 상병, 병장 부대 전 구성원이 눈에 보이면 경례를 해야 했다. 경례 공식은 이랬다. 선임 눈을 마주한다는 기준으로 사무실에서 반드시 한 번, 생활관에 돌아가서 또 한 번 경례를 해야 했다. 이 때문에 생활관에선 좀처럼 자유롭게 활보하기가 부담스러웠다. ⓒ MBC
2015년 7월 16일, 서산에 왔다. 가장 먼저 들른 곳은 근무하게 될 부대. 이 부대에 이번에 배치받은 신병이 나 혼자뿐이라 이목이 집중될 수밖에 없었다. 물론 그 이목은 고스란히 부담이었다. 일병 이상 선임들은 주의사항을 알려주기 시작했다. 첫째, 말끝에 '요'를 절대 붙이지 말 것. 둘째, 말을 듣고 이해가 안 돼도 "예"라고 반문하지 말 것. 셋째, '필승' 구호 붙여서 경례 철저히 할 것. 이상 세 가지가 중점 교육 항목이었다.
"예?"가 아니라 "잘 못 들었습니다?"
군대 내에 말은 모두 '다, 나, 까'로 통일해야 했다. '요'라도 튀어나오면 선임에게 지적받기 십상이었다. 또 바깥에선 상대방의 말을 들었을 때 이해가 되지 않으면 "예?"라고 반문하는 경우가 보통이나 군대에선 "잘 못 들었습니다."라고 말꼬리를 올리며 물음조로 말해야 했다. 사회에서의 언어 습관을 모두 내려놔야 했다.▲ "잘 못 들었습니다"에 대한 의문. ⓒ NBA mania 갈무리
경례는 군인으로서 기본예절로 통했다. 신병이라 간부는 물론이고, 일병, 상병, 병장 부대 전 구성원이 눈에 보이면 경례를 해야 했다. 경례 공식은 이랬다. 선임 눈을 마주한다는 기준으로 사무실에서 반드시 한 번, 생활관에 돌아가서 또 한 번 경례를 해야 했다.
이 때문에 생활관에선 좀처럼 자유롭게 활보하기가 부담스러웠다. 복도에 다니는 병사 모두가 선임인데, 보이는 족속 경례를 해야 함은 물론, 경례도 중복되게 하면 안 됐다. 동일한 사람에게 두 번 경례하면 신병일 땐 어쩌다 넘어가 줘도 민폐에 해당했다. 그 사람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다는 전제가 깔려있기 때문이다.
오후 6시에 일과가 종료됐다. 선임 여럿이 나를 대동하고 저녁 식사를 위해 식당으로 데려갔다. 밥 먹는 것도 지켜야 할 예절이 있었다. 선임과 같이 먹으면 숟가락을 들기 전 "맛있게 드십시오"라고 말해야 할 것, 또 식사 시간 전후로 해서 선임을 만나면 '맛있게 드셨습니까" 물어볼 것, 식탁 위에 팔 내리지 말 것.
이 세 가지가 지켜야 할 핵심이었다. 참으로 번거로운 일이었다. 팔 좀 내려서 자유롭게 먹으면 어디 덧나는가. 군인 정신과는 별 상관도 없어 보이는 게 예절이란 명목으로 행해지고 있었다. 또 맛있게 드시라, 드셨냐 묻는 것도 식사를 주제로 삼아 안부를 전하면서 선임과 후임간의 소통의 창구를 마련한다면 이런 인사치레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을 것이다. 허나 그 안부라는 건 일회성에 불과했고 안 해도 될 말을 억지로 하는 것 같은 느낌이 다분했다.▲ "맛있게 드십시오"에 대한 의문. ⓒ 뽐뿌 갈무리
'실례'될 것, 참 많았다
생활관에 들어섰다. 이전에 주의받은 대로 눈에 보이는 즉시 경례를 했다. 신병이기에 생활관에서 가장 막내일 터. 보이는 대로 경례하는 게 답이었다. 생활관 끄트머리 막내 전용(?) 생활관에 짐을 풀었다. 공군은 동기 생활관으로 운영됐다. 예컨대, 이병은 근기수끼리 지내는 식이다. 시설은 전원 일인 침대였다. 훈련소 때(관련 기사: 병영 현대화? 70년 전 미군 막사만도 못하다)를 상기하면 상전벽해였다.
지내게 될 생활관에 선임들이 몰려들었다. 백 단위가 되지 않는 소규모 부대에 한 명이 새로 들어왔다는 것만으로도 초미의 관심이 될 수밖에 없었다. 이 얘가 어떤 얘인가, 말은 잘 듣게 보이나, 또 사고 안 칠 것 같은가, 이런 것들을 살피려 선임들이 왔다 갔다. 그러고선 선임들끼리 이 신병은 이런 얘인 거 같다식의 인물평을 늘어놓는 경우가 허다했다.
선임들 기수도 알아둬야 했다. 선임 여럿이 같이 들어오는데 최선임보다 아랫선임에게 경례를 먼저 하면 그것도 실례였다. 경례를 건너뛰거나 대충하면 바로 맞선임이나 선임들끼리 뒷얘기가 오간다는 게 생활관의 정설이었다. 결국 내가 잘하질 못하면 맞선임도 욕을 먹고, 선임들은 이를 빌미삼아 뒷얘기를 오고갈 것이었다.
막내일 땐 조용히 있는 게 상책이었다. 말 한 번 잘못해서 얘기가 퍼지고 퍼져 생활관 대부분의 선임들이 아는 지경에 이르는 경우를 목격한 터다. 이런 신상 비평을 당할 바에야 침묵이 안전을 위한 최선의 방책이었다. 또 신병은 말이 너무 많아도 안 된다는 얘기를 위에서 전해 들었다.
'막내는 조용해야 한다'는 이런 암묵적인 시선이 군대에서 배양됐는지도 모를 일이다. 말도, 행동도, 걸음걸이도 어느 것 하나 신경 안 쓸 게 없었다. 사실, 악습이란 게 멀리 있는 게 아니었다. 강제하는 말과 행동 하나하나에 악습이 서려있다. 한편으로 군대에 적응한다는 건 이런 악습에 순응해야 한다는 말이기도 했다.'쓴 기사 > 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찬주 대장 갑질, 그 정도가 뭐가 문제냐는 분들에게 (0) 2017.11.01 군대의 '상명하복', 막내는 괴롭습니다 (0) 2017.11.01 밥은 5분 만에, 화장실은 0번... 간호사는 힘들다 (7.26) (0) 2017.11.01 서울 '하늘소' 대량 출몰, "기온 상승과 북한산 때문" (7.26) (0) 2017.11.01 JTBC 뉴스 엔딩곡으로 나온 이 곡, 정말 명쾌하지 않은가 (0) 2017.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