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론과 경영 - 지배구조 케이스 <서론>생각/미디어 2013. 1. 17. 21:22
고동완(kdw1412@nate.com)
언론은 사회 공익적 매개 수단이자 이익을 창출해야하는 기업의 역할까지 담당하고 있다. 언론은 수익 확보를 통해 사회 공익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재원이 마련되며 사실 추구, 공정성 확립 등에 만전을 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언론이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경영 성과가 필수적이며, 언론 연구에 있어서 케이스별로 나눠 경영 방식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1. 가족 중심의 지배구조
대한민국 언론사를 살펴보면 개인이 출자해서 설립한 언론사가 여럿 있었다. 조선 말, 일제 시대, 6.25 동란을 거쳐오며 거부가 언론사를 인수, 경영하는 사례가 있었던 것이다. 언론사의 설립, 유지를 위해서는 자본 집약이 필수적이었으나 일제의 탄압 등을 이유로 자생적 자본이 형성되지 못했으며 이는 일본인이 아닌 자국민을 위한 언론사 설립의 장애 요소가 되었던 것이다. 대한제국의 소멸과 이후 일제시대 당시, 몇몇 언론사의 경우 일제의 무자비한 탄압과 재정난을 이유로 회생에 실패했으며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야 만다. 결과적으로 당시 사회 시대상을 비춰봤을 때, 언론사의 설립과 유지의 세태상을 보았을때 현재 일부 나타난 국민주 방식의 지배구조가 아닌 가족 중심의 지배구조가 태동했던 것이다.
2. 국민주 방식의 지배구조
국민주 방식의 언론사 설립은 민주화 이후 본격적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국민을 위한, 국민에 의한 언론사 설립에 박차를 가할 수 있었던 것은 국민적 함의와 함께, 정부의 용인적 태도가 맞물렸던 것이다. 국민주 방식의 지배구조는 국민적 호응이 클 경우 여타 상업 자본이 아닌, 일시적 대규모 자본이 유입될 수 있으며 국민 인식상 언론사에 대한 거부 반응이 줄어들 수 있다는 장점을 내포한다. 민주화 이후 당시, 국민주 방식의 언론사 출연은 세계 최초였으며 탈 특정 자본의 지배구조 성립은 자본과 권력에 대한 억압의 정도를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3. 기업체가 대주주인 형식의 지배구조
공영, 국영 언론이 아닌 민영 언론은 대부분 대규모 자본의 출현이 가능한 특정 이익 집단이나 기업에 의해 설립된다. 국내의 경우에도 유력 대기업 집단에 의해 공중파 방송이 설립된 사례가 있으며 위성통신 발사와 케이블TV 시대 도래 이후 중견 기업을 비롯한 여러 기업 집단이 방송 개국에 참여하였다. 특정 기업에 의해 설립된 언론은 사회 공익적 역할 면에서 몇 가지 고민 해야 할 것이 있다. 첫째, 언론 설립이 특정 자본의 비호를 위한 것인지 둘째, 언론 내부 자원과 자본이 어떤 용도로 쓰여지고 있는지에 대한 감사 기능이 적절히 작동하고 있는지, 셋째는 대주주에 의한 언론 구성원, 컨텐츠에 대한 억압은 없었는지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4. 공기업 출자 구조
IMF 이후 3번에 의해 설립된, 자본 규모가 취약한 언론은 타 자본에 의해 줄줄이 매각되는 비운을 맞는다. 케이블 24시간 보도전문채널의 경우에 대주주가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면서 공기업이 대타로 인수하였다. 이 경우, 공기업의 인수 명제는 이익 창출이 아닌 언론의 다양성 확보와 보도 기간 채널를 지탱하는 것이었을 것이다. 다만, 언론 구성원 선임 부분에서 공기업의 입김과 맞물려 내부 충돌이 야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해법이 논의되고 있다.
5. 국가의 지배구조
국가의 지배구조는 몇몇 나라에서 일반화가 되었다. 러시아의 경우, 민영방송이었던 NTV가 사실상 국가 소유의 언론으로 변모했으며 여타 언론의 경우에도 국가 통제 하에 놓여있는 실정이다. 이는 중국, 북한 역시 마찬가지이며 언론의 공익성, 다양성, 사실성 추구보다는 국가의 선도, 홍보 매체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비단 이런 형식의 지배 뿐 아니라 영국의 BBC, 한국의 KBS 등 공영방송을 표방하며 국가 지원을 받는, 국가가 지배구조에 실질적 역할을 하는 언론이 있다.
6. 미디어그룹 형식의 지배구조
현재 세계적 미디어 현상은 파이가 다분화되어 경쟁하기 보다는 대립형 파이가 형성된다. 테드 터너가 설립한 CNN과 타임지 등을 필두로 한 타임워너 그룹 등은 여러 언론을 묶음으로 지배한다. 미디어그룹 형식의 지배구조는 우리나라에서 역시 보편화되어 있으며 공중파를 필두로 한 그룹 형식의 지배, 특정 자본과 기업을 필두로 한 미디어그룹 형식의 지배가 만연해있다. 이에 중소 언론 매체가 종종 흡수되기도 하며 용도를 바꾸기까지 한다. 미디어그룹은 현재 다국적 기업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전 세계 각지에 방송센터, 특파원, 컨텐츠 수출을 통하여 세를 늘리고 있다.
'생각 > 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과 형성되는 옹벽 (0) 2013.01.28 '뉴스 포화'와 언론의 해법 (0) 2013.01.22 언론학이 해야 할 기능 (1) (0) 2013.01.12 미디어와 쾌락 (0) 2013.01.08 미디어와 황폐화의 형태에 대한 고찰 (0) 2013.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