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
박광수 감독 연구(10) 가장 최근작, 2007년 <눈부신 날에>영화 2020. 5. 7. 21:18
는 전작들과 달리 박광수가 기획한 게 아니다. 영화의 원안은 정훈탁 싸이더스HQ 대표가 냈고, 박광수 연출부에 속했던 김성수 감독을 통해 정 대표가 연출 의뢰를 해온 것이다. 박광수는 변화가 필요하던 시기, 이런 유형 영화에 관심이 없었던 것도 아니고 주제도 의미가 있어 시작했다고 밝혔다. 배장수, 「8년만의 신작 ‘눈부신 날에’ 박광수 감독」, 스포츠경향, 2007.04.20. 그러나 이 영화 또한 과 마찬가지로 평단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그 비판의 기저엔 문제의식이 약화된 진부함에 있었던 탓에 가벼이 넘어갈 비판이 아니었다. 박광수가 8년 만에 장편 복귀를 선언했을 때, 과거 박광수 영화들을 봐왔던 이들은 기대를 감추지 못한 게 사실이다. 그러나 그 기대치는 안타깝게도 못 미치고 말았다. 의 주인공..
-
박광수 감독 연구(9) 두 편의 실험작, <빤스 벗고 덤벼라>와 <얼굴값>영화 2020. 5. 6. 17:25
빤스 벗고 덤비라니, 제목부터 도발적이다. 오프닝부터 남녀가 관계를 나누는 장면의 흑백 사진이 연거푸 나오는데, 박광수의 전작들을 종합하면 이 역시 도발적이다. 이후 잠시 영화 제작 곁을 떠나 부산영상위원회 초대위원장을 맡고 한국예술종합학교영상원에 출강하면서 바삐 보내던 박광수가 내놓은 신작이다. 전주국제영화제 디지털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제작에 나선 박광수는 영화의 모티브를 과거 경험에서 따왔다. 촬영 중, 에로배우로 이름을 날리던 안소영씨가 벗는 장면에서 고민하는 걸 봤다고 한다. 당시 안소영시는 에로배우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진지한 연기자로 변신을 꿈꾸고 있었으나 여기서도 벗어야 한다는 게 고민이 됐나 보다. 허문영, 「디지털, 디지털, 레볼루션 [2]」, 씨네21, 2000.03.21. 박광수는 이를..
-
박광수 감독 연구(8) 첫 조선시대 ‘사극’과 ‘실패’(이재수의 난)영화 2020. 5. 6. 03:18
그로부터 3여년이 지나 박광수가 택한 건 이재수란 인물이었다. 1999년 개봉한 은 현기영의 소설 를 원작으로 한 영화로, 당시 35억 원이란 ‘블록버스터’급 규모로 만들어졌던 영화다. 이때부터가 박광수 필모그래피의 전환점이라 할 수 있으며, 종전의 호평들이 사그라지는 계기가 됐다. 은 흥행에서 참패를 했는데, 그 참패의 성격이 와 동격으로 논할 것이 아니었다. 영화의 배경은 1901년이다. 군수 채구석(명계남 역)의 심부름꾼 이재수(이정재 역)은 마을에 닥쳐온 격랑에 휩싸인다. 그 격량은 제주민 사이의 종교를 둘러싼 대립이었다. 천주교인들은 양반, 계급 사회 혁파를 내걸고 제주민들로 하여금 행패를 부리고, 이에 천주교인에 앙심을 품은 제주민들은 반격에 나선다. 채군수의 심부름꾼이었던 이재수는 이 대립의..
-
영화 <아티스트>, 영화의 미덕, 본질영화 2020. 5. 4. 22:58
시대가 변해도 사라지지 않는 것이 있다. 본질이 그것이다. 외형적 성장을 추구하면서도, 본질을 잊지 않아야 한다고들 한다. 미디어, 특히 저널리즘이 그렇다. 저널리즘에 대한 신뢰는 어떤 기교에서 비롯되지 않는다. 콘텐츠의 충실성과 취재의 진실성에서 비롯된다. 본질을 두고 해석이 천차만별이었다면 저널리즘의 신뢰를 높일 방안의 경우의 수는 헤아리기 어려웠을 것이다. 그러나 본질은 비교적 명확하다. 본질의 영역은 제한적이지 않지만, 보편적으로 받아들이는 영역이 분명 있다. 비단 저널리즘뿐 아니라 사람의 인심을 얻는 행위와 관련된 산업에는 본질이 존재한다. 백종원이 음식점을 탐방하며 지적하는 내용은 대개 본질과 관련한 것이다. 맛과 서비스의 질이 낮으면 본질과도 거리가 멀어진다. 다만 본질이 무엇인지 우리는 암..
-
박광수 감독 연구(7) 역사적 인물에 조명을 하기 시작한 박광수영화 2020. 5. 4. 22:49
박광수는 현대사에서 다뤄볼 법한, 그러나 아직 다루지 못한 인물에 대한 조망으로 다음 영화를 골랐다. 그 시작은 1995년 영화 이었다. 전태일이란 인물은 박광수가 추구하려 했던 약자에 대한 시선, 인간 그 자체보다 분단 이데올로기에 우위를 두면서 생겨나는 부조리, 그리고 사회 의식적인 부분과 맞아 떨어지는 지점이 있었다. 영화가 다루고자 하는 전태일의 분신은 앞으로도 끊임없이 반복될 물음을 낳은 것이었다. 분신은 노동 실태를 전면에 알리고, 노동운동의 불쏘시개가 됐지만 과중한 노동 시간과 메탄올 실명과 같은 노동자의 재해가 반복되는 작금의 현실에서 노동에 대한 고민을 지속적으로 안겨주는 매개가 되어주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박광수가 영화의 소재로 전태일을 고른 건 박광수 본연의 색채와 의식이 ..
-
박광수 감독 연구(6) 피해자의 서사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그 섬에 가고 싶다>영화 2020. 5. 3. 23:28
박광수도 이를 고민했는지 다시 국내에 집중한다. 박광수는 다시 한 번 ‘공간’에 집중하는데, 이번엔 섬이었다. 1993년 영화 다. 는 임철우의 소설 원작을 각색한 것으로, 박광수는 임철우와 시나리오 작업에 참여하여 섬이란 장소를 통해 분단 의식의 장르를 잇는다. 영화는 첨예한 갈등에서 시작한다. 아버지 문덕배(문성근 역)의 아들, 문덕구(문덕배 역과 동일)는 유언에 따라 죽은 문덕배를 배에 싣고 고향이었던 섬으로 오려 한다. 그러나 무슨 영문에선지 섬사람들은 문덕배를 받아들이는 데 극렬히 반대하고, 그나마 섬에 당도한 김철(안싱기 역)에 의해 회상이 펼쳐지면서 관객은 그 이유를 알게 된다. 문덕배는 자신의 부인과 자녀를 돌보지 않다가 외도를 하여 정을 통한 여성을 임신하게 하고, 부인이 죽자 그 여성과..